도커는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컨테이너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컨테이너는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유닛이다.

컨테이너는 코드 패키지이며 해당 코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종속성과 도구가 포함되어있다

따라서 환경설정이나 의존성 같은 것을 신경 쓰지 않고 항상 표준화된 동작 결과를 보장한다.

도커는 이런 컨테이너를 구축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현재 최신 OS는 컨테이너 지원이 내장되어 있어 과거보다 도커를 설치해 실행하기 쉬워졌다.

 

독립적이고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유닛의 필요성

  • 여러 개발자간 개발 환경을 PC마다 맞추기 얼마나 번거로운지 생각해보기
    • 종속성, 서버 설정, DB연결 등등...
  • 로컬 환경, 개발 환경, 운영 환경 각기 다른 조건에서 동일한 하게 동작하기까지 환경 구축이 얼마나 힘든지 생각해보기

이처럼 독립적이고 표준화된 소프트웨어는 대단히 중요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상 머신과 도커의 차이는?

https://www.docker.com/resources/what-container/

  • 컨테이너는 코드와 종속성을 함께 패키징하는 앱 계층의 추상화 모듈이다.
  • 도커 엔진 하나에 여러 컨테이너가 동일한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각각 사용자 공간에서 격리된 프로세스로 실행되는 다른 컨테이너와 OS 커널을 공유할 수 있다.
  • 컨테이너는 VM보다 더 적은 리소스를 차지한다.(저장 공간, CPU 자원 등)

https://www.docker.com/resources/what-container/

가상머신은 운영체제 위에 또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하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기본적으로 가진 애플리케이션, 필수 바이너리 및 라이브러리 등이 중복되어 리소스를 소비한다. 

컴퓨터 전체를 캡슐화 한 것과 같아 도커보다 무겁고 느리다.

 

 

 

 

 

 

windows10 home제외한 모든 버전

Hyper-V 를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Microsoft-Hyper-V -All
DISM /Online /Enable-Feature /All /FeatureName:Microsoft-Hyper-V

두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윈도우를 다시시작한다.( 다시시작하라고 안내가 나온다)

 

다시시작 이후 Hyper-V가 활성화된 것을 확인한다.

 

 

 

Windows 10에서 Hyper-V를 사용하도록 설정

Windows 10에 Hyper-V 설치

learn.microsoft.com

 

windows10 home

홈 뿐만아니라 모두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 같은 경우 이전 작업만 했는데 도커는 설치가 되지만 도커 실행은 알람이 뜨면서 실행이 안됩니다.

알람 내용은 WSL2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PowerShell 관리자 권한 실행 후 아래 두 명령어 입력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아래 명령어는 버전 변경이니 다 설치하고 입력
wsl --set-default-version 2

설치 이후 반드시 WSL2 Linux 커널 최신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이전 버전 WSL의 수동 설치 단계

wsl install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이전 버전의 Windows에 WSL을 수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단계별 지침입니다.

learn.microsoft.com

 

여기서부터는 진짜 home만 설치하면 됩니다.

리눅스 설치

우분투를 설치하는 것을 추천... 그리고 가급적 버전정보 뒤에 LTS 붙은 것을 추천

 

 

 

도커 설치

 

 

Docker Documentation

 

docs.docker.com

다운로드 후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한 번 다시시작이 필요하다.

설치할 때 체크박스는 무조건 체크한다. (바탕화면 바로가기는 제외해도 되나 그냥 무조건 다 체크하고 나중에 필요없으면 지우면 된다)

 

설치 후 실행

커맨드 창에 docker를 쳐 아래와 같이 뜬다면 완료

 

 

 

 

 

 

 

 

 

 

 

 

 

+ Recent posts